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세이사팁
- speak는언어능숙도를얘기할때사용
- heterophone
- 같은철자다른음
- 전세시알아야할팁
- talk와함께하는전치사
- 뭔가level이높다고할때는전치사above만사용
- 간단영어공부
- 부찾남유튜브
- lead두가지뜻
- 전세사기안당하기
- dove두가지뜻
- 옹달책방유튜브
- 뭔가접촉하거나 감싸면서위에있으면전치사over사용
- speak와함께하는전치사
- refuse두가지뜻
- 간단영어
- 철자는같으나음이나뜻이다른영어단어
- 여신욱알머리제이슨
- 주식투자실패하는사람들의공통점
- 숫자가나오는경우전치사over사용
- 등기부등본보는팁
- present두가지뜻
- 전치사above와over구별하기
- 유튜브에서배운다
- 오늘의간단영어정리
- above와over구별하여연습문제풀기
- 전세이사꿀팁
- heteronym
- 뭔가다른것보다높다고할때는above와over둘다사용가능
- Today
- Total
두서 없는 일상 속 지식 정리공간
유튜브에서 배운다 - 주식투자 실패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 여신욱 알머리 제이슨 (책 -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본문
2022. 01.14 정리
들어가기 전 나만의 유튜브 내용 간략 정리
1. 주식투자에 대한 복습 프로세스를 통해 자기만의 투자 철학을 만들어라.
- 종목 선정은 왜 했는지, 언제 매수 했는지, 어떻게 수익이 되었는지, 만약 수익이 마이너스가 났다면 다음에는 이걸 피해서 투자할 방법은 없는지 등
2. 뭔가 투자에 대한 input들이 있으면 그거에 대한 정리의 시간을 가져라. 나만의 투자 철학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 이런 작업을 하지 않으면 나중에 자신만의 투자 철학이 없어 결국 10년 투자를 해도 수익률 저조의 늪에서 빠져 나오기 힘들다.
3. 일주일에 한 종목 분석을 추천
월 – 산업리포트 / 화- 기업리포트 / 수- 사업보고서 / 목-뉴스수집 / 금 – 재무분석 / 토 – 투자 포인트 정리 / 일 – 직접 매수가 도출
4. 종목에 대한 제대로 이루어졌다는 조건 하에 주식 투자 기간 중 90% 정도는 수익률 저조 기간이고 나머지 10% 정도는 수익이 나는 기간이 된다. (기다림의 힘을 무시하지 말자)
- 한국 기업같은 겨우 사이클 기업들이 많으므로 약 3년 정도면 수익이 나는 경우가 있다.
5. 한번 공부한 종목(기업정보)은 나의 투자 지식이 되어 남아 있다. 그럼으로 꾸준한 주식공부가 주식 투자 성공에 도움을 준다
6. 최종적인 투자판단은 자기가 하는 것이다.
밑에 내용은 유튜브를 보고 내가 정리한 내용
주식바보 VS 주식초보
주식바보 - 10년동안 수익이 하나도 안 나는 사람
주식초보 – 증고수로 넘어갈 개념이 탑재되어 있는 사람, 단지 시간과 경험이 부족해서 아직 중 고수로 못 가고 있는 사람, 막연함이 없고나는 이렇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다는 개념과 비전이 있는 사람.
주식바보에서 주식초보로 가기위해서 깨달음의 강을 건너야 한다.
주식은 한 종목에서 대박을 노리는 게 아니라면
한종목 한종목을 고르고 투자를 하고 그 투자 건에 대한 복습을 하는 프로세스가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종목 발굴 방법, 언제 어떤 가격에 사는 지, 종목에서 손실이 난 결과가 나왔을 때 다음 투자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대한 복습이 필요하다.
- (내생각) 종목을 사고 팔 때 나도 투자 복습 프로세스를 작성해 보자. (종목선정이유, 언제 들어 분할 매수할 것인지, 투자금액은 얼마나, 종목 수익률 관리는 어떻게)
(내생각) 나만의 주식투자 기준 만들기
1. 매출 및 영업이익이 계속 증가하는 기업인지 (앞으로 그 기업가치가 유망한 업종에 있느냐?)
2. PBR, PER이 적절한 값을 가지고 있느냐 (같은 업종에 있는 기업들과 비교해 볼 때 적당한 값을 유지하고 있는가)?
3. ROE 전망치가 앞으로 10%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느냐?
4. 분할 매수 시점은 어느 포인트에서 진행할거냐?
5. 적절 매도 가격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가? (일부 투자 금액 환수 할 것인지? 아니면 장기로 갈 것인지? – 아니면 일부금액 환수 후 일부금액만 담아서 장기로 갈 것인지 결정)
시간확보 (주식공부) –하루에 최소 한 시간은 주식공부에 대한 정리의 시간이 필요하다. 여러가지 매체를 통해 들어온 input을 내가 그 정보들을 이해하고 종합해서 새로운 contents을 만들 수 있는 시간을 최소한 1시간 이상 가져야한다.
- (내생각) 유튜브나 책을 읽고 나서 내가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하루에 한 시간 이상 정리해야 한다.
- (내생각)매일 매일 블로그에 유튜브나 하루동안 배운 금융상식에 대한 내용을 일기처럼 기록해 보자
- (저자추천) 일주일에 한종목 분석하기
월 – 산업리포트 / 화- 기업리포트 / 수- 사업보고서 / 목-뉴스수집 / 금 – 재무분석 / 토 – 투자 포인트 정리 / 일 – 직접 매수가 도출
저자는 남을 가르쳐 주기위해서 스크립트를 쓰고 내용을 정리하면서 자료를 준비하면서 투자 실력이 늘었다고 함
- 여러 증권사 리포트를 읽어 보고나서 그 중에 하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적어보자. (그 종목을 지금 사도 되는지에 대한 판단, 만약에 가격이 떨어지면 어느 정도까지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생각 등을 정리해 보자)
- 블로그에 일기처럼 정리해보는 게 추천.
- 그냥 매일 많은 정보만을 듣고 투자하는 것보다는 소수의 정보라도 자기가 정리하고 생각해서 투자를 해야 정말 자신의 실력이 늘어남을 명심해야 한다.
- 하루에 여러 개의 input을 받아 들였다면 어떤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지 자신만의 정리 시간이 필요하다. 이렇게 한 사람만이 투자를 할 때 의사결정 능력을 발휘해서 종목을 선정하고 정확한 시점에 매수를 결정할 수 있음
파라다이스라는 투자 경험 사례
카지노 및 관광 특수를 노리고 투자했으나 사드 배치라는 특수상황이 오면서
주식가격이 많이 내려가고 주식투자기준이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손절하지 못하고 계속 물타기를 해서 평단가를 계속 낮추고
1년 반이라는 기간동안 1년 4개월동안은 수익이 마이너스 구간이였음
최대 -40%까지 내려갔음, 최종적으로 80% 수익을 내고 정리
투자 사례로는 틀린 사례이지만 장시간을 가지고 기다리다 보면 수익이 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사이클 기업이 많아서 최대 3년 기다리면 수익이 나는 경우가 있음
단 전제조건은 내가 그 기업에 대해 기업분석이 이루어지고 투자했다는 조건하에 이루어지는 일임.
2~3년 투자기간동안 90%는 손실이 나는 기간이고 10%기간에서 투자 수익이 나는 기간이다.
- 기다림의 힘을 무시하지 말자
(내생각) 현재 내가 투자한 롯데관광개발과 비슷한 경우
대신증권 사례
- 투자 아이디어가 틀려져 포기한 종목인데 나중에 호재 뉴스가 왔을 때 자기가 전에 공부했던 기업에 대한 정보가 있어서 쉽게 투자 결정을 하고 큰 수익을 본 겨우
- 한번 공부한 종목(기업정보)은 나의 투자 지식이 되어 남아 있다. 그럼으로 꾸준한 주식공부가 주식 투자 성공에 도움을 준다.
5G 통신주 투자 사례
- 스터디 그룹에서 자신보다 경험이 많은 사람이 안 좋게 얘기헤서 투자를 포기한 경우. 그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종목을 판매를 했는데 몇 일 이후 그 종목이 상승하기 시작해서 약 4배가 오른 경우
- 최종적인 투자판단은 자기가 하는 것이다.